안녕하세요 오늘은 재고자산에 대해 알아봅시다.
재고자산이란, 판매, 소비 목적을 말하는데요.
재고자산 말 그대로 회사에서 판매하기 위한 상품을 만들거나 사서 창고에 모아둔 자산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판매목적 | |
18. 상품 | 판매하기위해 매입한 물건 |
19. 제품 | 판매하기 위해 제조한 물건[완성품] |
소비목적 | |
20. 재공품 | 제조중에 있는 미완성 제품 |
21. 소모품 | 사무용품, 저장품 |
22. 원재료 |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매입한 재료 |
재고자산의 계정과목은 어렵지 않죠? 그렇다면 재고자산에 대한 매출단가, 수량결정방법, 감모손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재고자산 매출단가 결정방법
- 선입선출법(물량의 흐름[순서]과 일치) EX) 음식점
- 후입선출법(수익비룔 대응의 관점일치[발생일이 일치]) EX) 옷가게
- 이동평균법(매입할때마다 평균계산)
- 총평균법(총원가액의 평균을 내서 계산) EX) 문구점
- 개별법(가장정확한방법) EX)보석상
첫번째, 선입선출법이란 음식점을 생각하시면됩니다.
12일에 들어온 식재료와 13일에 들어온 식재료가 있을때, 음식의 신선도가 떨어지기전에 먼저 들어온것을
먼저 사용하는것, 이것을 선입선출법이라 합니다.
두번째, 후입선출법은 옷가게를 생각하시면됩니다.
계절과, 트렌드에 민감한 옷가게들은 작년에 팔고 남은 여름제고상품과, 올해 트렌드인 여름신상상품중에
어떤것을 먼저 판매할까요? 올해 들어온 신상 상품이겠죠? 이것이 후입선출법. 나중에 들어온 상품먼저 판매시키는것을 말합니다.
세번째 총평균법입니다.
문구점에서 작년의 제고 볼팬과 올해에 들어온 볼팬중에 어느것 먼저 팔까요, 같은 볼팬인데 굳이 그것을 가릴 이유가 있을까요? 단지, 제고볼팬이 100원이고 올해볼팬이 120원이라면 두개의 평균값을 구하여 계산하면 됩니다.
이것이 총 평균법입니다.
네번째, 개별법입니다.
보석상은 정해진 금액이 있고, 거래하는 상대방의 의사도 결정되어있습니다.
즉, 1억짜리 다이아몬드와 10억짜리 다이아몬드가 있었을때 고객이 1억짜리를 원한다면 1억의 다이아몬드를 판매할수 밖에 없는 구조 인 만큼 정확한 결정방법입니다.
> 재고자산 수량결정방법 (재고조사)
1. 계속기록법(이동평균법으로 계속기록)
이동평균법은 대형마트를 떠올리세요.
대형마트경우 수십가지와 수십만개의 대량 물품이 오고 갑니다. 얼만큼 나가고 얼만큼 남았는지 일일이 셀수 없으므로, 제고를 세는것보다 프로그램으로 이용하여 물량이 들어오고 나가는것을 측정하는것, 이라고 생각하시면 쉬울것같습니다.
2. 실지재고 조사법
> 재고자산감모손실[수량감소]
1. 비정상적감모손실 : 재고자산감모손실(영업외비용) 분개
2. 정상적감모손실 : 매출원가에 포함 (분개X)
예를 들어 비정상적감모손실은 있어야할 제고가 분실 되었을 경우 영업외비용으로 처리하게 되고,
정상적감모손실은 직원의 실수로 물량이 하나더 얹어 갔을 경우 매출원가에 포함시킵니다.
EX) 결산시 평가함
취득원가 10,500
공정가액[현재시가] 9000
평가손실 1500
-----------------------------------------------------------------------------------------------------------------------------------
자 지금부터는 유동자산 관련된 문제를몇가지 풀어볼까요?
다음중 재고자산으로 분류되는 경우는?
- 제조업을 운영하는 회사가 공장이전으로 보유 중인 토지
- 도매업을 운영하는 회사가 단기 시세차익을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유가증권
- 서비스업을 운영하는 회사가 사용목적으로 구입한 컴퓨터
- 부동산매매업을 운영하는 회사가 판매를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건물
다음은(주)나라가 당기에 구입하여 보유하고 있는 단기매매증권이다. 기말단기매매증권 평가시 올바른 손익은 얼마인가?
종류 | 액면가액 | 취득가액 | 공정가액 |
(주)금나와라뚝딱 | 50,000원 | 100,000원 | 80,000원 |
(주)은도깨비 | 30,000원 | 20,000원 | 35,000원 |
- 단기매매증권평가손익 없음
- 단기매매증권평가손실 5,000원
- 단기매매증권평가이익 5,000원
- 단기매매증권평가이익 35,000원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기초재고수량과 기말재고수량이 동일하게 유지된다면 매출총이익을 가장 높게 평가하는 재고자산평가방법은 무엇인가?
- 선입선출법
- 이동평균법
- 총평균법
- 후입선출법
1. 4번 / 2. 2번 / 3. 1번
1번의 문제풀이를 해볼까요?
1~3번은 회사에서 보유목적과 사용목적인 반면, 4번은 판매를 목적으로 가지고 있는 물건입니다.
재고자산은 판매, 소비 목적인 자산이라고 설명드렸었죠? 그래서 정답은 4번입니다
2번의 경우
액면가액이란, 주식발행했을때의 금액이며, 취득가액은 구입당시 금액, 공정가액은 판매당시의 금액을 나타냅니다.
여기서 봐야할 금액은 취득가액과 공정가액만 봐주시면 됩니다.
금나와라 뚝딱에서 20000원의손실을 보고, 은도깨비에서 15000원의 손익을 보았기 때문에 5000원의 손실이 생겼습니다.
3번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 / 기초와 기말재고수량이 동일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했다면 기초에 100원에 샀던 물건이 기말에 150원이 되었겠죠?
그렇다면 연필을 180원에 판다했을때 기초에 매입했던 물건을 팔아야 80원의 이익을 얻을수 있겠네요.
정답은 선입선출법입니다.
문제는 이런식으로 나옵니다. 생각보다 문제가 많이 꼬아서 나오거나 어려운말로 헷갈리게 나옵니다.
그럴수록 계정과목을 열심히 이해하고 외워야 트릭에 안걸리겠죠?
다음은 비유동자산에 관련하여 포스팅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자몽한 직장생활 > 전산회계[더존Smart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익계산서계정[수익] (0) | 2022.03.11 |
---|---|
손익계산서계정[비용] (0) | 2022.03.11 |
재무제표계정[자본] (0) | 2022.03.11 |
재무재상태표계정[부채] (0) | 2022.03.08 |
재무상태표 계정과목[유동자산편/당좌자산] (0) | 2022.03.01 |